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정월대보름 오곡밥 만들어 먹자

728x90

음력 정월 보름, 한국의 대표적인 세시 명절의 하나.

 

음력 새해의 첫 보름날을 뜻하며, 전통적인 농경사회였던 한국에서는

마을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해 농사의 풍요와 안정을 기원하는 날이었다.

 

<삼국유사>에 대보름에 대한 첫 기록이 남아 있으나,그 이전부터도 대보름은 한국의 중요한 절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동제의 형태로 다양한 제사와 의례가 전해지고 있으며, 지신밟기와 쥐불놀이처럼 농사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놀이도 전승되었다.

약식과 오곡밥, 묵은나물, 부럼깨기와 같은 절기 음식의 전통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유래

정월 대보름에 대한 기록이 최초로 나타난 것은 <삼국유사(三國遺事)>권 1 <기이(紀異)> 편이다.

 

신라의 21대 왕인 소지왕(炤知王)이 정월 보름을 맞아 경주 남산의 천천정(天泉亭)에서 산책을 하는 중에

쥐와 까마귀가 왕에게 다가왔다.

 

쥐가 사람처럼 소지왕에게 말하되, 까마귀를 좇아 가보라고 하였다.

병사를 시켜 까마귀를 따라가니 한 노인이 나타나 왕에게 올릴 글을 바쳤는데,

 

봉투에 이 봉투를 열어 보면 두 사람이 죽고, 안 열어보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라고 씌어 있었다.

한 신하가 소지왕에게 두 사람은 서민이요 한 사람은 소지왕을 뜻하니 열어보라고 권했다.

 

소지왕이 글을 열어보자 "사금갑(射琴匣, 거문고 통을 쏘라는 뜻)"이라고 적혀 있었다.

소지왕이 대궐로 돌아와 거문고 통을 활로 쏘니,

 

그 안에 숨어 있던 왕비와 승려가 간음을 하고 반역을 꾀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소지왕은 자신에게 이를 알린 까마귀에 보답하기 위해 정월 보름날을 '오기일(烏忌日)'이라 명명하고,

해마다 약식(약밥이라고도 한다)을 지어 제사를 드리게 했다고 전한다.

 

이 제사의 풍습이 남아 '달도(達道, 모든 일에 조심한다는 뜻)'라고 전해지는데,

대보름 후 첫번째 오는 돼지날, 쥐날, 말날에는 모든 일을 삼가며 행동거지를 경망스럽게 하지 않도록 했다.

 

정월 보름에 대한 의례의 기록은 <삼국사기(三國史記)>에도 나온다.

신라에서는 정월 보름에 연등을 달아 기념했다는 풍속이 전해지고 있다.

이 풍속은 후에 초파일의 연등 행사로 바뀌어 남아 있다.

 

 

금기

한국은 전통적인 농경사회였으므로, 정월 대보름에는 이에 피해가 될 것을 미리 경계하는 금기가 많았다.

대보름에는 찬물을 먹지 못하게 했는데, 여름 내내 더위를 먹으며, 논둑이 터진다고 생각했다.

 

비린 것을 먹지 말라는 금기도 있었다.

보름날에 비린 생선을 먹으면 여름에 파리가 준동하고 몸에는 부스럼이 생긴다고 여겼다.

 

보름날 까마귀에게는 밥을 주지만, 집에서 기르는 개에게는 밥을 주지 않도록 했다.

개에게 밥을 주면 개가 여름 내내 잠을 많이 자며 개에게 파리가 많이 달려든다고 보았다.

 

칼질을 하면 상서롭지 않다고 보아 보름날에는 칼질을 하지 않았으며,

집의 문에 키 작은 사람이나 아이가 가장 먼저 출입하는 것을 삼갔는데,

만일 그럴 경우에는 농작물이 잘 안 자란다고 생각했다.

 

대보름날 아침에는 마당을 쓸지 않았는데, 마당을 쓸면 한 해 복이 나간다고 여겼고,

오후에 빗자루질을 할 때에도 바깥쪽이 아니라 안쪽을 향하도록 했다.

이와 같이 정월 대보름은 한해의 풍요와 기원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다음백과

 

 

 

정월대보름...

오곡밥...들깨국...다섯가지나물그리고 부럼...
차려놓고보면 몇가지도 안되는것이준비하는데는 하루종일 걸린다.
현승이도 좋아라하는 나물들...ㅎㅏ루 고생한 덕분에 몇일은 식탁위에 나물들이 풍성하겠다


 

728x90